728x90
반응형
최근 다이소의 온라인 전략이 가시적인 결실을 맺으며 알리익스프레스·테무(Temu) 등 소위 'C커머스' 플랫폼의 공세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있습니다. 오프라인 강점과 새로 단장한 통합몰의 시너지가 주효했다는 평가입니다.
핵심요약
- 다이소는 통합 온라인몰 출범 이후 월간 활성 이용자와 매출이 빠르게 증가했다
- 2024년 기준 연매출은 약 3.969조 원, 영업이익은 약 3,711억 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.
- 알리·테무 대비 약점으로 보였던 '배송 속도'와 '품질 신뢰'를 보완하며 가성비와 편의성으로 소비자 이탈을 막았다.
무엇이 '승부수'였나 — 다이소의 4가지 핵심 전략
1) 통합 온라인몰 출범으로 온·오프라인 연결성 강화
아성다이소가 2023년 말 선보인 통합 온라인몰은 오프라인 매장과의 연계를 강화해 소비자가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다양한 상품을 검색·구매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. 이 변화로 앱 기반 이용자 수가 가파르게 증가했고, 기존 오프라인 강점을 온라인으로 효과적으로 이전했습니다.
2) 물류·배송 체계 보강 — '속도'의 격차를 좁히다
C커머스의 압도적 저가 전략은 위협적이지만, 해외 직구 특유의 긴 배송 시간과 불확실한 고객 서비스는 단점입니다. 다이소는 국내 물류망과 직매입 비중 조절로 빠른 배송을 확보하며 '가성비 + 즉시성'이라는 조합을 만들었습니다. 이 점이 소비자 선택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.
3) 상품 품질관리와 큐레이션
단가가 낮아도 품질과 사용성을 신경 쓴 자체 상품(PL상품)과 엄선된 수입 상품을 늘려 소비자 신뢰를 쌓았습니다. 온라인상에서 상세한 리뷰·Q&A를 강화해 구매 전 불안 요소를 줄인 것도 포인트입니다.
4) 마케팅과 브랜드 포지셔닝의 재설계
'천원숍' 이미지를 유지하되 K-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기획전, 협업제품, 뷰티·리빙 카테고리 강화로 젊은 소비층까지 흡수했습니다. 결과적으로 매출 구조가 고루 성장하며 이익률까지 개선되는 선순환이 나타났습니다.
숫자가 말해준다 — 실적과 이용자 지표
- 아성다이소의 최근 감사보고서·업계 집계에 따르면, 2024년 매출은 약 3조 9,689억 원(약 3.969조), 영업이익은 약 3,711억 원으로 전년 대비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습니다. 영업이익률 또한 주요 대형 유통사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수익성 개선이 확인됩니다.
- 앱 분석 업계 집계에서는 다이소몰의 월간 활성 이용자(MAU)가 전년 동월 대비 수십 % 성장하는 등 단기간에 성장률 측면에서 경쟁 플랫폼을 압도한 수치가 확인되었습니다. (예: 7월 기준 MAU 약 322만 명, 전년 동월 대비 약 66% 증가 보도 등)
소비자의 반응 — 리뷰와 커뮤니티에서 보이는 변화
-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'매장까지 가지 않아도 집 앞에서 바로 사는 편리함', '직구 대비 품질 신뢰'
- '빠른 반품/교환 프로세스' 등에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했습니다.
- 반면, 가격에 민감한 일부 소비자는 여전히 초저가 외국 플랫폼을 병행 구매하는 추세도 남아 있습니다.
다음 관전 포인트
- 알리·테무 등 C커머스의 한국 시장 공세에 대한 다이소의 추가 대응(물류 투자·가격정책·글로벌 소싱 전략)을 주목해야 합니다.
- 오프라인 매장과의 시너지(픽업, 반품센터 연계 등) 확대가 지속 성장의 핵심입니다.
- 브랜드 확장(자체 브랜드·콜라보 상품)으로 이익률을 더 끌어올릴 수 있을지 여부가 장기 경쟁력의 분수령이 될 것입니다.
다이소의 승부수는 '속도+신뢰+가성비'를 결합한 실전 전략이었습니. 통합 온라인몰과 물류·상품 전략으로 단기간에 이용자와 매출 성장을 만들어 내며 C커머스 위협을 효과적으로 차단했습니다.
728x90
반응형
'소소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입추의 의미와 계절 전환 생활 지혜 (입추, 절기, 가을 준비) (6) | 2025.08.07 |
---|---|
2025년 여름 정책별 지원금 총정리 (7) | 2025.07.24 |
티스토리 글 수익화 전략 가이드 (13) | 2025.07.24 |
2025년 8월 대형마트 휴무일 (0) | 2025.07.23 |
2025 민생회복 지원금 미성년자 신청방법 (3) | 2025.07.22 |